13월의 월급? 연말정산 꿀팁, 국세청이 알려주는 핵심 포인트

반응형

매년 돌아오는 연말정산 시즌, ‘13월의 월급’이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죠. 하지만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환급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바쁘게 일하다 보면 세세하게 따지기 어려운 게 현실이지만, 연말정산 ‘꿀팁’을 알고 미리 대비한다면 알뜰하게 혜택을 챙길 수 있어요. 국세청이 알려주는 실전 연말정산 전략과 주요 팁을 정리해봤습니다.

 

신용카드 vs 체크카드, 올해 막바지 소비 전략

소득공제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면 돈을 더 절약할 수 있습니다. 연초부터 지금까지 사용한 금액이 총급여의 25%를 넘었다면 남은 기간에는 체크카드현금영수증을 적극 활용하는 게 좋습니다.

왜냐하면 신용카드 소득공제율15%이지만, 체크카드·현금영수증30%로 공제율이 훨씬 높기 때문이죠. 예를 들어 연봉이 6000만 원인 직장인이 300만 원짜리 냉장고를 구매한다고 가정하면, 체크카드로 결제할 때 소득공제 혜택이 신용카드보다 15만 원 더 큽니다.

또한 소득공제 한도에 주목해야 합니다.

  • 연봉 7000만 원 이하: 한도 300만 원
  • 연봉 7000만 원 초과: 한도 250만 원

여기에 전통시장·대중교통 사용 금액은 40%, 도서·공연·문화비는 30%까지 추가 공제가 되니, 연말 쇼핑 계획을 세울 때 마트 대신 전통시장, 문화생활을 적극 활용하면 절세 혜택이 더 커집니다.

 

여윳돈 있다면? 주택청약보다 연금계좌가 유리

남는 돈이 있다면 주택청약저축보다 연금계좌를 고려해보세요. 특히 세액공제 혜택이 확실히 더 큽니다.

예를 들어 연봉이 6000만 원인 무주택자가 여윳돈 300만 원을 투자한다고 가정했을 때:

  • 주택청약저축: 세액공제 18만 원
  • 연금계좌: 세액공제 36만 원

연금계좌가 무려 18만 원 더 공제됩니다. 연금계좌 세액공제는 총급여 5500만 원 이하는 납입액의 15%, 초과 시 12%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 주의할 점은 만 55세 이전에 중도 해지하면 세제 혜택이 사라지고 기타소득세 15%가 부과된다는 점입니다.

 

부모님과 따로 살아도 인적공제 가능

부모님이 만 60세 이상이라면 따로 살아도 부양가족으로 등록하면 1인당 150만 원까지 인적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 부모님의 연 소득금액이 100만 원 이하여야 하고, 근로소득이 있다면 총급여 500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.

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수급액이 연 516만 원 이하라면 소득금액 100만 원 이하로 인정되므로 공제를 받을 수 있으니 확인해보세요. 다만 형제자매 중 한 명만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중복 신청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

 

올해 새로 추가된 연말정산 공제 항목

2024년 연말정산에는 새로 적용되는 항목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.

  1. 신용카드 추가 공제: 올해 사용금액이 작년 대비 105%를 넘으면 초과분의 10%를 추가 공제(한도 100만 원).
  2. 영유아 의료비 전액 공제: 만 6세 이하 자녀의 의료비는 전액 세액공제됩니다.
  3. 산후조리원비 공제: 총급여가 7000만 원을 넘어도 200만 원 한도까지 공제 가능.
  4. 월세 세액공제 확대: 총급여 8000만 원 이하로 대상 확대, 공제 한도는 1000만 원으로 상향 조정.
  5. 자녀 세액공제 증가: 자녀 2명일 때 35만 원으로 상향, 3명 이상은 추가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국세청 홈택스 ‘연말정산 미리보기’ 활용하기

연말정산에 대한 모든 것을 직접 계산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. 이럴 때 국세청 홈택스‘연말정산 미리보기’ 서비스를 활용해보세요.

  • 예상 환급금액 모의 계산
  • 개인별 맞춤형 절세 꿀팁 제공

특히 올해는 소비한 카드 금액과 추가 세액 공제 항목들을 꼼꼼하게 확인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.

 

미리 준비하면 더 커지는 혜택

연말정산은 준비하는 만큼 돌려받을 수 있는 중요한 절세 기회입니다. 소득공제 한도를 고려해 소비 계획을 세우고, 부모님 인적공제나 연금계좌 납입 등 다양한 혜택을 꼼꼼하게 챙기세요.

국세청 홈택스를 적극 활용하면 복잡한 계산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미리 대비하고 철저히 준비해 ‘13월의 월급’을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. 앞으로도 유익한 세금 절약 팁을 꾸준히 공유해드릴게요!

 

반응형

이 글을 공유하기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